존 C. 매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C. 매더는 미국의 천체물리학자이자 우주론 연구자이다. 그는 1968년 스와스모어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1974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NRC 펠로우로 고다드 우주 비행 센터에서 COBE 프로젝트 개발에 참여하여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복사의 흑체 복사를 밝히는 데 기여했다. 이러한 업적을 인정받아 2006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그는 또한 다양한 상과 영예를 받았으며, 미래 과학자 및 기술자 국립 아카데미의 과학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릴랜드 대학교 교수 - 리처드 호프스태터
리처드 호프스태터는 20세기 미국의 역사학자로서, 미국 사회의 다양한 현상을 분석하고 사회심리학적 개념을 활용하여 정치사를 설명했으며, 퓰리처상을 두 차례 수상했다. - 메릴랜드 대학교 교수 - 토머스 셸링
토머스 셸링은 게임 이론을 통해 갈등과 협력에 대한 이해를 높여 2005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경제학자이자 외교 정책 전문가이다. - 스와스모어 대학교 동문 - 피터 쉬켈
피터 쉬켈은 P.D.Q. 바흐 창조, 영화 음악 작곡, 방송 진행 등 다방면에서 활동한 미국의 작곡가, 연주자, 음악 교육자이며, 그의 음악은 유럽 고전과 미국적 특징의 결합으로 평가받는다. - 스와스모어 대학교 동문 - 조시 그린
조시 그린은 1970년생 미국 민주당 소속 정치인이자 의사로, 2022년부터 하와이 주지사를 역임하고 있으며, 하와이 주 하원의원과 상원의원을 거쳐 부지사를 지낸 후 주지사로서 높은 생활비 문제 해결, 낙태 접근성 확대, 총기 규제 강화, 주택 위기 해결 등에 주력하고 있다. - 미국의 천문학자 - 조지 스무트
조지 스무트는 미국의 천체물리학자이자 우주론학자로, COBE 위성 프로젝트를 통해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의 비등방성을 정밀하게 측정하여 빅뱅 이론을 뒷받침하는 증거를 제시한 공로로 2006년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 미국의 천문학자 - 애니 점프 캐넌
애니 점프 캐넌은 미국의 천문학자로, 하버드 천문대에서 별의 스펙트럼을 분류하고 하버드 분류 체계 개발에 기여했으며, 헨리 드레이퍼 목록 완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고, 수많은 변광성과 신성을 발견하여 천문학 발전에 큰 업적을 남겼다.
존 C. 매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46년 8월 7일 |
출생지 | 미국 버지니아주 로어노크 |
국적 | 미국 |
분야 | 천체물리학, 우주론 |
소속 | NASA 메릴랜드 대학교 컬럼비아 대학교 |
모교 | 스와스모어 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
박사 학위 논문 제목 | 우주 배경 복사의 원적외선 분광 측정 |
박사 학위 논문 URL | Far Infrared Spectrometry of the Cosmic Background Radiation |
박사 학위 논문 연도 | 1974년 |
지도교수 | 폴 L. 리처즈 |
주요 업적 |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복사 연구 |
수상 | 대니 하이네만 천체물리학상(1993년) 노벨 물리학상(2006년) |
![]() | |
참고 자료 | |
수상 | |
노벨 물리학상 수상 연도 | 2006년 |
노벨 물리학상 수상 이유 |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복사의 흑체 복사성 발견 |
관련 뉴스 | |
관련 뉴스 | 미국인 천문학자 2명에게 노벨 물리학상 - 우주 배경 복사의 '흔들림' 발견으로 |
2. 생애
존 매더는 1964년 뉴저지 주 뉴턴에 있는 뉴턴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68년 스와스모어 대학교에서 물리학 학사 학위를 최우등으로 받았다. 이후 1974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4년부터 1976년까지는 미국 국립과학재단(NRC) 박사후 연구원으로 컬럼비아 대학교 고다드 우주 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다.[4]
존 매더는 고다드 우주 과학 연구소 NRC 펠로우로 재직하며(1974~1976) COBE 개발 및 추진을 제창했다.
COBE의 성공은 1,000명 이상의 조사원, 기술자 등의 대규모 팀워크의 결과였다. 존 매더는 프로젝트 전체를 총괄하며 COBE가 관측한 극초단파 배경 복사의 흑체 복사를 밝히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조지 스무트는 복사 온도의 미묘한 차이를 측정했다.
2. 1. 교육 및 초기 연구
존 매더는 1964년 뉴저지주 뉴턴에 있는 뉴턴 고등학교를 졸업하고,[4] 1968년 스와스모어 대학교에서 물리학 학사 학위를 최우등으로 받았다. 이후 1974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4년부터 1976년까지는 미국 국립과학재단(NRC) 박사후 연구원으로 컬럼비아 대학교 고다드 우주 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다.학교 | 학위 | 전공 | 년도 |
---|---|---|---|
뉴턴 고등학교 | 고등학교 졸업 | 1964년 | |
스와스모어 대학교 | 학사 (최우등) | 물리학 | 1968년 |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 박사 | 물리학 | 1974년 |
연구 경력 | |||
컬럼비아 대학교 고다드 우주 연구소 | 박사후 연구원 (NRC 펠로우) | 1974년–1976년 |
2. 2. COBE 프로젝트 참여
존 C. 매더는 고다드 우주 과학 연구소 NRC 펠로우로 재직하며(1974~1976) COBE 개발 및 추진을 제창했다.COBE의 성공은 1,000명 이상의 조사원, 기술자 등의 대규모 팀워크의 결과였다. 존 C. 매더는 전체를 총괄하며 COBE가 관측한 극초단파 배경 복사의 흑체 복사를 밝히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조지 스무트는 복사 온도에 미묘한 차이가 있음을 주로 측정했다.

2. 3. 최근 업적
존 C. 매더 문서의 내용 추가가 필요한 상황이다.3. 수상 및 영예
연도 | 수상 및 영예 |
---|---|
1964–1968 | 스워스모어 칼리지 오픈 장학금 (명예) |
1967 | 윌리엄 로웰 푸트남 수학 경시대회 전국 30위 |
1968 | 물리 대학원 기록 최고 점수 (990점) |
1968–1970 | NSF 펠로우십 및 명예 우드로 윌슨 펠로우십 |
1970–1974 | 허츠 재단 펠로우 |
1974–1976 | NRC 박사후 연구원 |
1990 | NASA GSFC 존 C. 린지 기념상 |
1991 | 로터리 전국 우주 업적상 |
1991 | 국립 항공우주 박물관 트로피 |
1992 | Aviation Week and Space Technology 우주/미사일 부문 로렐상 |
1993 | Discover Magazine 기술상 최종 후보 |
1993 | 미국 항공우주학회 우주 과학상 |
1993 | 미국 천문학회 및 미국 물리학회 대니 하이네만 천체물리학상 |
1994 | 고다드 우주 비행 센터 펠로우 |
1994 | 스워스모어 칼리지 명예 과학 박사(honoris causa) |
1995 | 필라델피아 시 존 스콧 상 |
1996 |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럼포드 상 |
1996 | 미국 물리학회 펠로우 |
1997 | Aviation Week and Space Technology 명예의 전당 |
1997 | 국립 과학원 회원 |
1998 | 마크 아론슨 기념상 |
1998 |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 |
1999 | 프랭클린 연구소 벤자민 프랭클린 물리학 메달 |
2005 | 국제 광학 공학회 조지 W. 고다드 상 |
2006 | 피터 앤 패트리샤 그루버 재단 우주론상 |
2006 | 노벨 물리학상 |
2007 | SPIE - 국제 광학 공학회 펠로우 |
2007 | 미국 업적 아카데미 골든 플레이트 상 |
2008 | 로빈슨 상 |
2008 | 메릴랜드 대학교 명예 과학 박사(honoris causa) |
2008 | 메릴랜드 대학교 겨울 졸업식 졸업 연설자 |
2010 | 인도 총재 금메달 |
2010 | 미국 광학회 펠로우 |
2011 | 노터데임 대학교 명예 과학 박사(honoris causa) |
2020 | 미국 천문학회 레거시 펠로우 |
2023 | 디킨슨 칼리지 조셉 프리슬리 상 |
2023 | 미국 철학 학회 회원 |
4. 출판물
- 존 C. 매더, [https://www.osti.gov/biblio/4309827-far-infrared-spectrometry-cosmic-background-radiation "우주 배경 복사의 원적외선 분광법"],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로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 미국 에너지부(전신 기관인 원자력 위원회를 통해), (1974년 1월).
- 존 C. 매더, 알브레히트, A., 외. [https://www.osti.gov/biblio/897600-report-dark-energy-task-force "암흑 에너지 태스크 포스 보고서"], 페르미 국립 가속기 연구소, 미국 에너지부, (2006).
- 존 C. 매더, 존 보슬로 공저, ''The Very First Light: The True Inside Story of the Scientific Journey Back to the Dawn of the Universe'' (가제: 『시작의 빛: 우주의 새벽으로 돌아가는 과학 여행의 숨겨진 이야기』)[12], 1996, 2008 기본 서적.
5. 기타 활동
매더는 미래 과학자 및 기술자 국립 아카데미의 과학 이사이다.
참조
[1]
간행물
The Nobel Prize in Physics 2006
https://www.nobelpri[...]
The Royal Swedish Academy of Sciences
2006-10-03
[2]
웹사이트
A Letter from America's Physics Nobel Laureates
https://fire.pppl.go[...]
[3]
웹사이트
NASA Names Dr. Jane Rigby New Webb Telescope Senior Project Scientist
https://www.nasa.gov[...]
2023-06-28
[4]
Nobelprize
2020-04-30
[5]
웹사이트
Golden Plate Awardees of the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https://achievement.[...]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6]
웹사이트
NASA - Goddard Space Science is the Place for Awards This Season
http://www.nasa.gov/[...]
2010-02-02
[7]
웹사이트
PM gives away awards to prominent scientists
http://pib.nic.in/re[...]
Government of India
2010-01-03
[8]
웹사이트
Honorary Degrees
http://commencement.[...]
2011-06-20
[9]
웹사이트
AAS Fellows
https://aas.org/gran[...]
AAS
2020-09-29
[10]
뉴스
米国人天文学者2名にノーベル物理学賞-宇宙背景放射の「ゆらぎ」発見で
https://www.astroart[...]
2006-10-04
[11]
웹사이트
Press release: Pictures of a newborn Universe
http://nobelprize.or[...]
[12]
서적
The Very First Light: The True Inside Story of the Scientific Journey Back to the Dawn of the Universe
Basic Books
1998-11
[13]
웹인용
The Nobel Prize in Physics 2006
http://nobelprize.or[...]
The Royal Swedish Academy of Sciences
2006-1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